“일찍 자야 머리가 좋아진다”는 말, 어릴 때 한 번쯤은 들어본 적 있으시죠?
대부분의 청소년은 이 말을 그냥 ‘어른들의 잔소리’ 정도로 넘기곤 합니다.
그런데 최근 과학 연구 결과가 이 말을 완전히 뒤집지 않고, 오히려 뒷받침하고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일찍 자고 오래 자는 청소년일수록 인지 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분석 결과가 나온 것입니다.
🧠 청소년 3,000여 명 분석…잠 잘 자는 아이가 똑똑했다
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와 중국 푸단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미국에서 수집된 청소년 3,222명의 수면과 인지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.
수면 시간과 뇌 구조, 인지 능력까지 총체적으로 살펴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*셀 리포트(Cell Reports)*에 실리기도 했습니다.
연구 참가자들은 이렇게 나뉘었습니다:
-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는 그룹 (평균 수면 7시간 10분)
- 중간 그룹 (7시간 21분)
- 일찍 자고 오래 자는 그룹 (7시간 25분)
놀랍게도, 단 몇 분의 수면 차이에도 불구하고, 세 번째 그룹, 즉 가장 일찍 자고 오래 자는 청소년들이 인지 테스트 점수가 가장 높고, 뇌의 크기와 기능도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💡 참고로 미국 수면의학 아카데미는 13~18세 청소년에게 하루 8~10시간 수면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
📉 부족한 수면, 뇌 발달까지 방해한다?
뇌 스캔 결과에서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.
뇌의 부피가 클수록 인지 능력과 직결되는데, 충분한 수면을 취한 그룹이 가장 큰 뇌 용적을 보였습니다.
특히 수면 중 심박수까지 안정적인 패턴을 보인 것도 인상적인 부분이죠.
반면, 늦게 자고 적게 자는 그룹은 전반적으로 뇌 기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고,
기억력, 문제 해결력 같은 인지 기능 점수도 가장 낮았습니다.
📱 늦은 밤 스마트폰? 청소년 뇌 건강엔 독!
연구진은 “수면 중 뇌가 정보를 정리하고 기억을 강화한다”며,
‘잘 자는 습관’이 곧 인지 능력 향상의 시작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.
특히 스마트폰, 태블릿, 게임기 등 늦은 밤 스크린 노출이 수면 방해 요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.
✔ 연구팀의 제안:
- 규칙적인 운동을 할 것
- 자기 전 1시간, 스마트기기 사용 줄일 것
- 일정한 시간에 취침하는 습관 들일 것
옥스퍼드대의 수면 전문가 콜린 에스피 교수는 “성장기의 인간 뇌는 수면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”며,
청소년기의 수면 부족은 단순한 피로 문제가 아닌 뇌 발달의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
✨ 마무리하며
우리가 어릴 적부터 들었던 “일찍 자야 공부 잘 한다”는 말,
더 이상 단순한 잔소리가 아니었습니다. 과학적 근거가 있는 조언이었죠.
단 몇 분의 수면 차이가 뇌 구조와 인지 능력에 눈에 띄는 차이를 만든다는 사실,
청소년뿐만 아니라 부모님들에게도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.
지금 이 순간에도 책상 앞에서 밤을 지새우는 청소년들에게,
“공부는 잠 충분히 자고 난 다음에!”라는 말, 이제는 자신 있게 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😊
📌 Tip: 오늘부터 실천해볼 수 있는 수면 습관 만들기!
- 자기 전 스마트폰은 손에서 내려놓기
- 정해진 시간에 잠들고 일어나기
- 주말에도 늦잠은 피하기
작은 습관이 ‘큰 차이’를 만듭니다!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우리 집 쌀, 왜 자꾸 맛이 없지?” 쌀이 상하는 이유는 따로 있다! (0) | 2025.04.25 |
---|---|
백미 vs 현미 vs 발아현미, 뭐가 더 좋을까? (2) | 2025.04.24 |
양배추 한 통을 샀을 때 - 세척부터 보관, 요리법까지 (0) | 2024.09.25 |
가장 맛있는 '자두' 고르는 꿀팁 공유 (0) | 2024.07.02 |
다이어트 중이지만 디저트는 먹고 싶을 때는 '이 것'을 만들어 보세요 : 건강한 디저트 7가지 소개 (0) | 2024.07.01 |